얼마 전, 반려동물의 장례를 치르는 데 수백만 원을 쓰는
'펫 장례' 문화가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
그런데 같은 시간, 우리 사회의 다른 한편에서는
가족이나 이웃도 없이 홀로 죽음을 맞이하는 '고독사'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2023년 한 해에만 3,300명이 넘는 사람들이 고독사¹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반려동물의 마지막 길은 성대하게 배웅하면서,
사람의 마지막은 이토록 쓸쓸해도 되는 걸까요?
이런 비극이 늘어나자,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회적 장례(공영장례)' 도입 논쟁이 뜨겁습니다.
무연고 사망자나 저소득층의 장례를 세금으로 지원해,
최소한의 인간적 존엄을 지켜주자는 취지죠.
하지만 '세금 낭비'라는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 제도는 단순히 죽음을 처리하는 문제를 넘어, 우리에게 씁쓸한 질문들을 던집니다.
['사회적 장례', 씁쓸한 현실이 던지는 3가지 질문]
🏠 1인 가구 1천만 시대의 예고된 비극
통계청에 따르면, 대한민국 1인 가구는 이미 전체 가구의 34.5%²를 넘어섰습니다.
가족의 형태가 급격히 바뀌고 있지만,
사회 안전망은 여전히 '정상 가족' 모델에 머물러 있죠.
고독사는 단순히 개인의 불행이 아니라,
급격한 사회 변화에 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해 발생한 '사회적 재난'입니다.
사회적 장례는 이 재난의 뒷수습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일 뿐입니다.
🤝 무너진 공동체, 누가 이웃의 죽음을 슬퍼하나?
과거에는 이웃이 상(喪)을 당하면
온 동네 사람들이 함께 슬퍼하고, 일손을 보탰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옆집에 누가 사는지도 모르는 시대죠.
서울시의 한 설문조사에서
'어려울 때 도움을 청할 이웃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30%³에 불과했습니다.
이웃의 죽음조차 '나와 상관없는 일'이 되어버린 사회에서,
혈연이 없다는 이유로 존엄한 죽음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이 과연 온당할까요?
💸 최소한의 존엄 vs 세금 낭비 논란
"왜 내 세금으로 연고도 없는 사람의 장례를 치러줘야 하나?"
사회적 장례에 대한 가장 흔한 반론입니다.
하지만 한 사람의 장례를 치르는 데 드는 최소 비용은 약 300~500만 원.
지자체가 지원하는 '공영장례'는 이보다 훨씬 적은 예산으로 최소한의 의식만 진행합니다.
우리가 한 해에 불필요한 보도블록 교체에 쏟아붓는 예산을 생각하면,
한 인간의 마지막 존엄을 지켜주는 비용을 '낭비'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사회적 장례'는 죽은 자를 위한 제도인 동시에, 바로 살아있는 우리를 위한 제도입니다.
내가 혹은 내 이웃이 맞이할지도 모를 외로운 마지막을,
우리 사회가 최소한의 품위로 지켜줄 수 있다는 믿음을 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주석 (Sources)
¹ 보건복지부, 2024년 6월 발표 '2023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
² 통계청, 2022년 인구주택총조사.
³ 서울시 서베이, 2025년 1월 '서울시민 사회적 관계망' 조사.
'[까칠한 팩트] 상식이 있는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 '세대 갈등'에 불붙인 뜨거운 감자 (5) | 2025.08.17 |
---|---|
"주문은 키오스크로" 디지털 문맹, 당신의 부모님은 안녕하신가요? (3) | 2025.08.17 |
[까칠한 팩트] 🧐 AI 면접관에게 '합격'받는 법? 취준생 두 번 울리는 'AI 채용'의 꼼수 (7) | 2025.08.16 |
[까칠한 팩트] 🧐 넷플릭스·디즈니+, 약속이나 한 듯 '요금 인상'...이거 담합 아닌가요? (6) | 2025.08.16 |
[까칠한 팩트] 🧐 공매도 재개, '개미'는 또다시 기관의 밥이 되는가? (17) | 2025.08.15 |